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금리가 요즘 다소 주춤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원금을 보장하면서, 4% 수준에 확정 금리는 매력적인 투자일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기간별 농협 정기예금 금리 높은 지점들을 정리해봤습니다(2023년 5월 업데이트).
목 차
○ 농축협 6개월 정기예금 금리 순위
○ 1년(12개월) 예금 금리 순위
○ 2년(24개월) 예금 금리 순위
○ 3년(36개월) 예금 금리 순위
먼저 농협 예금금리를 알아보기 전에 단어 정리부터 하고 갈게요.
농협은 농협은행과 농축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농협은행은 일반 시중은행과 동일한 1 금융권으로, 지점명 앞에 ‘농협은행’이라고 되어 있어요.
1금융권 예금 금리는 다른 포스팅에서 따로 다루기로 하고요. 오늘은 비교적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인 농축협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해 볼게요.
아무리 금리가 높아도 직접 방문해서 가입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 수도 있으니, 온라인에서 가입 가능한 농축협 위주로 순위 비교를 해봤습니다.
해당 금리는 매월 초에 지속 업데이트할 예정이고요. 주변 농축협 금리 확인하는 법과, 조합원이 되어 세금 우대 받는 방법까지 알려드릴테니 끝까지 읽어 주세요.
농축협 6개월 정기예금 금리 순위
먼저 농협 정기예금 금리 6개월 가입했을 때 순위입니다. 현재 강진남부농협이 4.0%로 가장 높고, 대부분 3% 후반대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1년(12개월) 예금 금리 순위
이번에는 1년 가입했을 때 농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 Top 10입니다. 1년 정기예금 이자도 전월에 비해 조금 떨어진 와중에, 효돈농협이 4.5%로 가장 높은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2년(24개월) 예금 금리 순위
이번에는 2년(24개월) 가입했을 때 농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입니다. 2년 예금이자도 전월에 비해 0.3% 정도 떨어졌네요. 봉산농협과 용산농협이 가장 높은 금리를 주고 있네요(4.2%)

3년(36개월) 예금 금리 순위
마지막으로 3년(36개월) 가입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리 순위입니다. 2년과 3년 정기예금 금리가 4.0 ~ 4.2% 사이로 거의 비슷한 수준이네요.

농축협 세금우대 받는 방법
농축협은 농협은행과 달리 협동조합에 포함되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범위가 넓습니다.
간판에 ‘농협은행 xxx 지점’이란 표시 대신, ‘xxx농협 xx지점’이라고 써 있으면 농축협이라고 알 수 있는데요.
해당 농축협에 출자금 통장을 만들고 조합원이 되면, 이자에 대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원래 예금 이자 소득에는 15.4%의 세급이 부과되는데요(소득세 14%, 농어촌 특별세 1.4%). 조합원이 되면 원금 3천만원 한도 내에서 1.4%의 농어촌 특별세만 내면 됩니다.
원금 3천만원을 5% 예금에 1년 동안 넣는다고 가정하면, 세금을 약 21만원이나 아낄 수 있는 셈이죠.
다만 조합원은 아무나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실제 농사를 짓거나, 해당 농축협 주소지에 거주하거나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내 주변 지역농협 예금 금리가 위에 농축협들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면, 조합원 가입 하고 세금우대 받는 게 더 유리할 수도 있어요.
또한 인터넷에 조회되지 않는 특판 예금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거주지 주변 농축협 예금부터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지역 농축협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검색할 수 있고요. 홈페이지 에 공시된 금리는 실제 특판 금리를 반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직접 전화로 문의를 해보는 걸 추천합니다.
https://nonghyup.ttmap.co.kr/main_old.jsp?menu=2&type=tab
위 링크로 들어가면, 주소나 지도 검색을 통해 농축협을 찾을 수 있고요.

이렇게 해당 농축협의 주소와 전화번호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농협 정기예금 금리 비교 및 순위를 6개월부터 3년까지 알아봤고요. 세금우대 혜택 받는 방법까지 소개해 드렸습니다. 재테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글을 마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