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 정기예금 금리 Top 10 (6개월, 1년, 2년, 3년)


금리가 다소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신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를 기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이자에 붙는 세금 아끼는 팁과, 주의해야 하는 내용도 알려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봐 주세요. 금리는 2023년 5월 기준 업데이트했습니다.

 

목  차

○ 신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6개월 ~ 3년)
○ 예금 이자 세금 아끼는 Tip
○ 신협에 돈 맡길 때 주의할 점


※ 농협 정기예금 금리 Top 10 (6개월, 1년, 2년, 3년)

 

신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

6개월 금리 Top 10

먼저 6개월 맡겼을 때 정기예금 금리가 높은 신협을 순서대로 10개 꼽아봤습니다. 찾아가기 어려운 곳도 있을 수 있기에, 온라인 가입 가능한 신협을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지난 달에 비해 이자가 다소 내려간 가운데, 최고 금리는 0.2% 높아졌습니다(경남중앙신협 4.5%).

신협금리
경남중앙신협4.5%
인후신협4.2%
북부산신협4.1%
효천신협4.1%
순창신협4.0%
한라신협4.0%
대구영광신협4.0%
달구벌신협4.0%
대구희망신협3.8%
군포신협3.8%

 

1년 예금 금리 순위

다음은 1년 신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입니다. 전월에 비해 0.1% 정도 내려갔습니다. 그래도 아직 많은 곳에서 예금 1년 맡기면 4.6% 금리를 받을 수 있네요.

신협금리
고령신협4.6%
대구대서신협4.6%
북성신협4.6%
신제주신협4.6%
제민신협4.6%
대구희망신협4.6%
대구한일신협4.6%
동촌신협4.6%
효천신협4.6%
대구가온신협4.6%

 

2년 예금 금리 순위

다음은 2년 예금 금리 순위입니다. 2년 정기예금 금리도 전월에 비해 0.2% 정도 떨어졌네요.

신협금리
대아신협4.3%
계림신협4.2%
대구한일신협4.2%
신제주신협4.2%
대정신협4.1%
사상신협4.1%
광양신협4.1%
원주밝음신협4.04%
송도신협4.0%
삼다신협4.0%

 

3년 예금 금리 순위

마지막은 3년 예금 금리 순위입니다. 2년과 3년 정기예금 금리가 거의 비슷한 수준까지 되었네요. 현재 대아 신협이 4.3%로 가장 높은 이자를 주고 있습니다.

신협금리
대아신협4.3%
대정신협4.1%
원주밝음신협4.04%
대구희망신협4.0%
한라신협4.0%
인천한마음신협4.0%
소사신협4.0%
계림신협4.0%
신제주신협4.0%
광양신협3.95%

 

아직 1년 예금 금리가 더 높긴 하지만, 장단기 금리차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당분간 1년 예금 금리 하락폭이 더 클 수도 있으니, 금액을 나눠서 맡기는 것도 괜찮은 전략인 것 같아요.

 

최근에 1 금융권과 금리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는데요. 이자 몇 푼보다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분들은 시중은행 금리 순위도 한 번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예금 이자 세금 아끼는 Tip

신협도 새마을금고나 농축협처럼 출자금 통장을 만들고 조합원이 되면 세금우대 혜택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원래 이자에 대해서 15.4%의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이자소득세 + 농어촌 특별세). 조합원은 3,000만 원 한도 내에서 1.4% 농어촌 특별세만 내면 되는 세금 우대 혜택이 있습니다.

 

예금 금리가 5%라고 가정하면, 약 0.7% 금리를 더 받는 효과가 있는 셈인데요.

 

조합원은 거주지(혹은 직장 주소) 인근 신협에서만 가입할 수 있는데요. 인근 신협의 금리가 너무 낮지만 않다면, 조합원에 가입하고 세금우대를 받는 게 오히려 이득일 수 있습니다.

 

가까운 신협 찾는법

세금우대 혜택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는 조회가 안 되는 특판 예금도 있기 때문에 가까운 신협에 확인은 한 번 해보는 것이 좋은데요.

 

아래 ‘신협 홈페이지 지점 찾기 메뉴’에 들어가면 주변 신협 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지도에서 ‘시/도’를 선택하고 ‘시/군/구’를 선택합니다.

 

조회되는 신협 점포명을 한 번 클릭해 봅니다.

 

 

해당 지점의 주소, 전화번호, 위치 등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굳이 방문할 필요는 없고요. 전화로 특판 예금이나 조합원 가입 조건 등을 문의하면 되겠죠?

 

신협에 돈 맡길 때 주의할 점

마지막으로 신협은 1 금융권이 아니기 때문에 돈을 맡길 때 약간 불안할 수 있는데요. 물론 5천만 원까지는 예금자 보호가 되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지만, 막상 파산하면 돈을 되찾는 게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따라서 ‘내가 예금을 맡기려는 신협이 파산이 우려되는 곳인지’ 정도는 체크하면 좋은데요(신협마다 경영 현황 제각각임).

 

신협 홈페이지 경영공시에 들어가면 이런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협 지점 찾을 때와 마찬가지로 조회해서 신협을 선택하면 되는데요.

 

 

다른 건 굳이 볼 필요 없고, ‘요약 공시자료’만 다운 받아 확인해 봅니다. 

 

 

다른 지표들도 한 번씩 살펴보면 좋고요. 제일 중요한 게 아래 표시한 ‘자기 자본 비율’과 ‘고정이하 여신 비율’이에요.

 

자기자본 비율은 ‘신협이 운용하는 돈 중에 실제 자기 돈 비중이 얼마인지’를 의미하는데 8%를 넘어가야 안전하다고 볼 수 있고요.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연체 기간이 오래된(3개월 이상) 악성 채무 비중이 얼마인지’를 의미하는데 낮을수록 건전하다고 보면 됩니다.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8% 이하면 기준을 만족시키긴 하는데, 개인적으로 5%를 넘지 않는 신협을 선택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금방 치솟을 수도 있거든요.

 

물론 총 자산 규모 등에 따라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지만, 잘 모르는 분들은 저 2가지만 간단히 살펴보셔도 도움 되실 거예요.

  

지금까지 신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를 기간별로 10위까지 정리하고, 예금 이자 세금 아끼는 팁과 돈 맡길 때 주의해야 하는 점까지 살펴봤습니다. 재테크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